건강이야기

암의 원인 12가지와 암 예방법

좋은집 이야기 2021. 7. 9. 23:15

암 원인 12가지

미국 국립 암 연구소(NCI : National Cancer Institute)가 제시하는 암 위험요소 12가지입니다.

국가암정보센터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들의 기대수명 83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이 37.4%로 3명 중 1명이 암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암을 예방하고자 할 때 우선 소극적인 하지 말아야 할 것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의 암 위험요소, 즉 발암물질을 피하고 덜 사용하도록 합시다. 

1. 암 진단의 중위연령 (Mediation age)은 66세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알코올은 구강, 인두, 식도, 후두, 간, 유방암의 위험을 높이고, 흡연 시 발병률은 더 높아집니다. (12번)

3. 발암물질의 가장 보편적으로는 담배와 자외선이 있고, 그 외 환경적 발암물질은 26가지가 있습니다. 그중 생활과 밀접하다고 생각되는 것 3가지만 보겠습니다.

  1) 아플라톡신 Aflatoxins 은 아스페르길루스 Aspergillus flavus 등이 생산하는 곰팡이독으로 옥수수, 쌀, 참깨와 같은 곡물이나 호두, 땅콩, 캐슈너트 등 견과류에서 서식하는 곰팡이가 만들어 내는 독소입니다. 햇곡물과 도정한 지 오래되지 않은 곡물을 섭취해야 하며 특히 견과류는 산패가 의심되면 아플라톡신에 노출되니 먹지 말아야 합니다. 

  2) 석탄 연소는 가정이나 식당에서 난방이나 요리를 위해 사용하기도 합니다. 석탄 연소 시 발생하는 가스가 발암 물질입니다. 연탄구이로 하는 요리는 피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3) 염화비닐 Vinyl chloride는 플라스틱 용품을 만드는 폴리염화비닐(PVC: Poly Vinly Choride)을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학용품이나 장난감, 가정 내 장판과 벽지, 전기 전선 등 생활 속에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천이나 천연재질로 사용하는 것으로 대체를 찾아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4. 만성염증 Chronic inflammation은 천식, 암, 심혈관 질환, 대사증후군, 신경퇴행성 질환 및 류머티즘 등의 질병의 원인이 됩니다. 이러한 만성 염증은 외부로 들어오는 독소를 우리 몸의 해독 시스템이 다 처리하지 못하면서 만성염증이 되는 것입니다. 

5. 식습관 Eating habits 은 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는 음식들을 피하고, 암 발생 위험을 줄이는 음식들 위주로 음식을 섭취하도록 합니다. 음식에 대해서는 별도로 포스팅할 예정입니다. 

6. 호르몬 Hormone에 민감한 유방암의 경우 합성호르몬이 발병률을 높입니다. 

7. 면역억제 Immunosuppression 면역반응을 예방하거나 소실시키는, 만성 감염질환이나 이식 수술 후 투여하는 면역억제제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8. 감염원 Source of infection 은 병을 옮기는 근원으로 특정 바이러스들이 있습니다. B형 간염 바이러스(HBV),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EBV) 등

9. 비만 Obestiy 또는 과체중 Overweight 은 폐경기 후 유방암, 자궁암, 식도암, 담낭암, 신장암, 췌장암, 갑상선암 등 여러 암들을 유발하는 위험요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과도한 지방은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에스트로겐, 혈장, 염증을 높입니다. 

10. 방사선 Radiation 중 원자력 발전소 및 엑스레이, CT, PET 스캔 등 의료영상, 방사선 치료를 포함한 일정 파장을 가지고 있는 이온화 방사선은 DNA를 손상시켜 암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핸드폰에서도 나오는 저에너지, 비이온화 방사선은 최근 뇌종양과 백혈병 발생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전자에 따른 전자기기 사용이 많아지고 있어 과도한 사용은 줄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11. 햇빛 Sunlight 중 자외선 노출은 위험요소가 됩니다.

12. 흡연 Smoking 은 폐암, 후두암, 구강암, 식도암, 인후암, 신장암, 간암, 위암, 급성 골수성 백혈병을 포함한 많은 종류의 암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건강도 관리하는 만큼 좋아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건강한 100세를 기원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