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종양(encephaloma)은 두개골 내에 생기는 모든 종양입니다. 원발성 뇌종양의 경우 주변 신경조직을 침윤(infiltration)하는 신경교종(glioma)과 신경교종과 뇌조직을 침윤하지 않고 압박하는 비교종성 종양이 있습니다.
뇌종양 초기 증상 4가지를 살펴보겠습니다. (출처: 국가암정보센터)
첫째, 종양이 커지면서 뇌압 상승으로 두통과 구토, 오심, 유두 부종(시신경 원반의 부종)이 있습니다. 둘째, 주변 신경 압박으로 인한 신경마비 증상으로 팔, 다리의 마비가 있습니다. 셋째, 뇌피질 자극하여 간질 발작이 발생합니다. 넷째, 종양에 의해 뇌가 밀려 시력장애, 안면신경 마비 등을 나타납니다.
실제 주변에서 뇌종양 판정을 받은 사람의 경우 처음 병원에 갈 때 두통과 자주 넘어지는 일이 있다고 했습니다. 당시 업무 능력도 예전보다 떨어져 있었고, 입원하여 검사받는 동안에 본인 차 위치를 알지 못해 찾아달라고 했었습니다.
뇌종양 위치에 따른 증상, 평가방법, 중재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전두엽 (frontal lobe) : 대뇌 반구의 전방에 위치한 전두엽은 추리, 계획, 운동, 감정, 문제 해결에 관여합니다.
신경학적 증상 | Assessment | 중재 |
- 반대쪽 신체 마비 - 브로카 실어증(Broca's aphasia), 지적손상 - 정서적 불안정, 인격변화 - 빈뇨, 급박뇨, 요실금, 간질, 후각기능 손상 |
- 운동기능 검사 - 의식수준 사정: 환자관찰 및 가족면담 - 지남력, 일반적 지식, 글시쓰기 능력, 단기 기억 사정 |
포괄적인 재활 치료(운동재활, 인지재활, 언어치료 등) |
2. 측두엽 (temporal lobe) : 관자엽이라고도 하며, 대뇌 반구의 양쪽 측면에 위치하는 기억저장, 청각, 언어, 정서를 관장하는 기관입니다.
신경학적 증상 | Assessment | 중재 |
측두엽간질, 명의실어증(aphasia), 감각실어증 기억장애, 지각과 공간 혼돈 | - 경련 과거력에 대한 상담 - 단계적 명령에 대한 수행정도 |
- 경련 예방과 주의 - 경련일지 기록, 운전제한 등의 교육 - 인지치료 |
3. 두정엽 (parietal lobe) : 일차 체감각 기능, 감각 통합과 공간인식 등에 관여합니다.
신경학적 증상 | Assessment | 중재 |
감각소실(자세, 진동, 접촉, 온도), 계산, 좌우 구별, 시야, 언어, 간질 | - 감각검사(ex: 진동과 자세에 대한 인식) - 뇌파검사 - 경련 과거력에 대한 상담 |
- 안전을 위한 작업 치료와 인지 재훈련 - 경련 예방과 주의 - 경련 일지 기록 - 운전 제한 등의 교육 |
4. 후두엽 (occipital lobe) : 대뇌피질의 후측 끝에 위치하여 시각입력을 받은 시상핵의 축색들이 종지 하는 곳입니다.
신경학적 증상 | Assessment | 중재 |
반대측 동측성 반맹증(왼쪽 병변은 왼쪽 시력의 소실을, 오른쪽 병변은 오른쪽 시력 소실을 일으킴), 환시, 경련 | - 시야, 기각적 인지, 공간 인지를 포함한 시각 검사 - 환시에 대한 상담 |
- 신경 안과학적인 검사 - 시각 재훈력을 위한 작업치료 |
5. 소뇌 (cerebellum) : 뇌의 한 부분으로 대뇌 아래, 중뇌 뒤쪽에 위치하는 작은 뇌입니다. 중추신경계의 일부분으로 대뇌의 기능을 보조하여 자발적 운동의 조절과 평형을 유지하는 기관입니다.
신경학적 증상 | Assessment | 중재 |
동측 운동 실조증, 조정능력상실, 안구 진탕증, 두개 내압 상승 | 조정능력 검사, 기도진전 또는 운동 실조증을 평가 | - 균형과 조정능력을 위한 물리치료와 작업치료 보조기 - 두개 내압 상승과 관련된 교육 |
6. 뇌간(brain stem) : 뇌에서 좌우 대뇌 반구 및 소뇌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입니다.
신경학적 증상 | Assessment | 중재 |
뇌신경 손상, 감각 또는 운동기능 장애, 구토, 호흡, 심장박동 | 뇌신경 기능 검사 | - 뇌신경 기능 손상에 적절한 치료 - 약물 치료 |
7. 뇌실내 : 뇌 속에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 CSF)으로 채워진 빈 공간
신경학적 증상 | Assessment | 중재 |
두개 내압 상승, 수두증(hydrocephalus뇌실 안이나 두개강 속에 뇌척수액이 고이는 질병으로 보행장애, 인지장애, 요실금), 급사 | 보행검사 | 뇌실 내 shunt 삽입술 가능성에 대한 교육, 폐색과 응급수술의 가능성에 대한 환자와 가족 교육 |
출처: (프셉마음:혈액종양내과 입문 편, 유미옥 저, 드림널스 출판)
'건강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암 초기증상 그리고 생존율 (0) | 2021.08.15 |
---|---|
폐암 초기증상 (0) | 2021.08.14 |
화학 항암 치료제 종류와 항암부작용 (0) | 2021.08.11 |
항암치료 성공률 : 화학요법의 치료 성공률은 매우 낮다 (0) | 2021.08.10 |
간암 초기 증상 4가지 (0) | 2021.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