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드워드 제너 : 천연두 예방한 우두법의 아버지
에드워드 제너 : 천연두 예방한 우두법의 아버지, Edward Jenner, 1749.05.17 ~ 1823.01.26
프랑크가 빈 종합병원장으로 있었던 1800년대에는 천연두가 크게 유행하여 가장 무섭고 끔찍한 전염병중 하나였습니다. 독일에서만 매해 3만 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고 죽지 않고 살아남은 사람의 대부분은 '곰보'가 되었습니다. 천연두를 한 번 앓으면 두 번 감염되지 않는다는 것과 가벼운 천연두가 유행일 때 앓는 편이 유리하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습니다. 이 같은 생각으로 일부러 앓는 방법이 시험되어 인도 북부 평원지대 힌두스탄(Hindustan
)
에서는 천연두 환자의 옷으로 아이를 감싸는 방법이 행해지고, 중국에서는 환자 피부 부스럼 딱지를 콧구멍에 불어넣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18세기 초반 콘스탄티플에서 영국 대사 부인인 몬터규가 이 방법을 알아 그리스인 의사에게 부탁하여 자신의 아이들에게 접종하게 했고 아이들은 매우 약한 천연두를 앓고 회복하여 면역력을 갖게 됩니다. 그녀는 1718년 영국으로 돌아와 친구인 황태자 부인하게 이야기하여 7명의 범인과 6명의 고아에게 접종을 한 뒤 천연두 감염에 노출시켰더니 그들이 면역력을 갖는 것을 확인하고 1722년 젊은 왕자들에게 접종을 했습니다. 궁중의 예는 '인두 접종'(Variolation)의 선전이 되어 영국 전역으로 퍼져갔고 전문가가 접종하는 인두 접종 센터가 각지에 만들어지고 이 방법이 영국에서 유럽 대륙으로 퍼져가 처음에는 1749년에 제네바에서 트롱샹(Tronchin)이 행했습니다. 이 무렵 제네바는 영국과 특별히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고, 볼테르는 이 방법에 흥미를 갖고 일반에게 알리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인두 접종이 많은 생명을 구했지만 천연두는 종종 유행했고 많은 희생자가 나왔습니다. 접종이 활발하게 시행되었지만 모든 사람들이 접종한 것은 아니었고, 18세기 이러한 병원체 접종을 일부러 하는 것이 좋지 않은 방법이라고 보는 사람들이 많았고 그 위험이 없다고는 말할 수 없었습니다. 병원체를 한동안 건조해 보존해서 독을 약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했지만, 접종받은 사람이 천연두를 심하게 앓거나 접촉한 사람들이 위험해 지키도 했습니다. 게다가 접종은 사람이 사람에게 행해 충분히 주의를 기울였다 할지라도 천연두뿐만 아니라 특히 매독을 옮길지도 모르는 일이었습니다. 따라서 인두 접종은 이상적인 예방법이 아니었기에 사람에게 중대한 위험을 주지 않고 천연두의 면역을 갖는 병원체의 발견이 필요했습니다.
여기서 새로운 접종방법을 발견을 한 의사가 영국의 외과의 제너였습니다. 제너는 헌터의 제자로 한동안 같이 살았고 친밀했으며 제너는 존 헌터(John Hunter)를 매우 존경했습니다. 1753년, 24세에 제너는 고향 글로스터셔의 버클리에서 개업의가 되었습니다. 순수하게 의학과 외과학을 연구한 외에 헌트의 제자로 자연지에 흥미를 가지고 있었고 이것을 런던 헌터에게 보고해습니다. 버클와 그 밖의 곳곳에서 암소에 천연두의 농포와 비슷한 것이 생기는 병이 발생했는데 제너는 우두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이 병이 일하는 사람들의 손이나 팔에 감염되는 경우가 있었는데 그 병이 국소적으로 생기고 전신증상이 극히 적고 전신 농포가 생기는 경향이 없었습니다. 제너는 우두에 걸린 사람이 천연두에 면역력이 있다는 것이 민중들 사이에 널리 믿어지고 있는 것을 알게 됩니다. 제너는 자신의 관찰에 대해 왕립협회에 보냈지만 회원들은 시골 의사의 초고를 돌려보냈습니다. 이 실험은 흥미로웠지만, 그들을 납득시킬 수 없었던 것입니다. 하등한 동물에 걸리는 병에 사람이 걸리는 경우가 있고 그 병이 사람을 전염병에 걸리지 않게 막아준다는 것은 생각할 수도 없는 일이었습니다. 제너는 실험을 계속했고 그 결과는 같았습니다. 마침내 1798년 그는 '우두의 원인과 작용에 관한 연구'라는 제목의 소책자를 간행했습니다.
이 책의 시작은 '원래 사람이 자연에 놓였던 상태에서 일탈하는 것은 질병의 원인이 되는 듯합니다. 아름다운 것에 대한 사랑, 사치에 대한 즐거움, 위로를 좋아하는 것에서부터 원래는 친구가 아니었던 수많은 동물과 사람은 사이가 좋아졌습니다. 늑대는 사나움을 잃고 부인의 무릎을 베개로 삼고 있습니다. 우리는 섬의 조그만 호랑이였던 고양이의 원래 서식지는 숲이었지만 역시 길들여져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암소, 돼지, 양, 말은 목적은 다르지만 인간에 의해 길러지며 지배를 받고 있습니다.' 제너는 우두에 대해 짧지만 명백한 기재로 나아갔습니다. 이어 23개의 사례를 기재하고 거기서 결론을 이끌어낸 뒤 다음과 같이 끝을 맺습니다. '조만간에 나는 이 조사를 수행할 것입니다. 이 일은 기본적으로는 인류에게 육할 것이라는 희망에 용기를 얻습니다.' 소책자의 반응은 냉담했고 내용은 알려지지 있지 않은 것이었습니다. 다른 사람들도 실험을 했으나 같은 결과를 얻지 못했지만 제너는 1799년 그 후의 관찰을 간행했고 1800년에 세 번째 소책자를 출판하여 논문에서 반대자들의 어떠한 점이 잘못되었는지를 설명합니다.
이 무렵까지 얻은 경험 덕분에 의심이 많았던 사람들까지 납득하게 되었고 추시의 성과가 다른 나라에서도 쏟아녀 나옵니다. 빈에서 이 발견은 환영을 받게 되어 새로운 접종 방법이 곳곳에서 행해지게 됩니다. 이러한 제너의 발견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이 밝혀져 1802년 영국 의회는 국가의 감사를 표하기 위해 제너에게 1만 파운드를 수여하기 위한 투표를 행했고 5년 후에 다시 2만 파운드를 수여하기 위한 투표도 행해졌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이 접종 방법에 의한 면역이 평생 계속되지 않는다는 사실로 열광이 식었으나 접종을 반복하면 면역력이 항진된다는 사실이 밝혀져 인두 접종은 우두 백신 접종으로 대치되게 됩니다. 이 방법이 발견되어 천연두는 예방 가능한 질병이 되었습니다. 18세기 후반 예방접종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의무로 행해지게 되었고 그 결과 천연두는 극히 드물어지게 됩니다. 천연두는 완전히 근절되고 종두는 폐지되었습니다. 제너는 1815년 결핵으로 아내 캐서린 킹스코데가 사망하자 은퇴하고, 1823년 고향마을에서 뇌졸증으로 인해 사망했습니다.